반응형
1. 가격 흐름 및 추세
- 장기 추세:
- 과거 고점(약 3,400~3,600달러 부근)에서 하락해, 최근에는 2,000달러 전후까지 내려온 모습입니다.
- 현재 200일 이동평균선(장기선) 아래에서 가격이 움직이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아직 하락 추세를 벗어나지 못한 상태로 보입니다.
- 단기 추세:
- 최근 1,700~1,800달러 부근에서 지지를 받은 뒤 2,000달러대까지 기술적 반등이 나타났습니다.
- 단·중기 이동평균선(예: 50일선, 100일선)도 여전히 가격 위에 위치해 있어, 이를 돌파하지 못하면 반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2. 이동평균선(MA) 분석
- **단기(50MA), 중기(100MA), 장기(200MA)**가 모두 현재가 위쪽에서 저항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골든크로스(단기가 중기를 상향 돌파) 등의 추세 전환 신호가 나오려면, 가격이 50일선 → 100일선 → 200일선을 순차적으로 돌파하고 그 위에서 안착해야 합니다.
3. 지지·저항 구간
- 단기 지지: 최근 저점이 형성된 1,700
1,800달러 구간이 1차 지지로 보입니다. 만약 이 영역이 붕괴되면, 심리적 지지선인 1,5001,600달러 부근을 시험할 수도 있습니다. - 단기 저항: 2,100
2,200달러 부근(단기 이동평균선과 맞물리는 구간)이 1차 저항, 그 위로는 2,4002,500달러(중기 이동평균선), 2,700달러(장기 이동평균선)가 중요한 저항대가 될 수 있습니다.
4. 거래량(Volume) 동향
- 하락 후 저점을 형성할 때(1,700~1,800달러) 거래량이 다소 증가하며 매수세가 들어온 것으로 보입니다.
- 반등 구간에서도 꾸준한 거래량이 따라와야 추세 전환이 확실해지므로, 저항 구간 돌파 시 거래량이 동반되는지가 중요합니다.
5. 오실레이터(Stochastic RSI 등)
- 차트 하단에 보이는 **Stochastic RSI(SRSI 10 15 15 4)**가 중립 구간(약 30~40 전후)에 머무르고 있어, 과매수도 과매도도 아닌 상태로 추정됩니다.
- SRSI가 80 이상으로 올라가면 단기 과열, 20 이하로 내려가면 단기 과매도로 볼 수 있으므로, 현재는 추세 전환을 위해 힘을 모으는 과정일 수 있습니다.
6. 종합 의견
- 단기적으로 1,700~1,800달러 구간에서 강한 지지가 형성된 후 2,000달러 부근까지 반등했으나, 여전히 주요 이동평균선 아래에 있어 하락 추세에서 벗어났다고 단정하기는 이릅니다.
- 추세 전환을 위해서는 2,100
2,200달러 구간의 단기 저항 돌파, 이어서 2,4002,500달러 및 2,700달러(장기선) 돌파가 중요합니다. - 거래량과 오실레이터를 함께 확인하면서, 위 저항대 돌파 여부와 지지대 유지 여부가 향후 추세 방향에 핵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 시나리오들은 첨부해주신 ETH/USDT(일봉) 차트를 토대로, 현재 보이는 하락 추세와 주요 지지·저항 구간을 가정하여 ‘추세 유지(하락)’, ‘추세 이탈(부분 상승)’, ‘추세 전환(상승 반전)’ 세 가지 관점으로 작성했습니다. 실제 시장에서는 거시경제, 거래량, 실시간 뉴스 등에 따라 변동이 크므로, 최종 매매 판단은 본인의 리스크·목표에 맞게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1. 추세 유지(하락 지속) 시나리오
전제전제
- 현재 일봉상 200일선(녹색) 및 100일선(노란색) 아래에 머무르고 있어, 중기·장기 추세가 약세로 기울어 있다고 판단.
- 단기 반등이 나와도 2,800달러 전후 저항을 넘지 못하고 재차 하락 압력이 커진다고 가정.
가격 & 시간 구간
- 단기(3~5거래일 전후)
- 가격이 단기 저항인 2,800달러 근처 혹은 그 이하에서 계속 억제되는 모습.
- 매수세가 크게 붙지 않을 경우, 2,600달러 언저리(최근 지지대) 재확인 가능성.
- 중기(1~2주 이내)
- 2,600달러선마저 이탈 시, 2,400~2,500달러 구간이 다음 지지 후보.
- 오실레이터(예: Stoch RSI)가 과매도 영역(20 이하)에 진입해도 거래량이 따라오지 않으면, 짧은 반등 후 다시 하락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음.
- 중장기(1~2개월)
- 2,400달러 이하로 빠지면 심리적 지지선이 크게 무너지면서, 시장은 추세적 약세를 확신하게 될 가능성 큼.
- 추가로 2,000달러 근방(과거 중요한 지지대)까지 열어두고 봐야 할 수 있음.
핵심 포인트:
- 2,800달러 저항 돌파 실패 시 → 2,600달러 이탈 가능성
- 2,600마저 깨지면 2,400달러, 더 심하면 2,000달러까지 열어두어야 함
2. 추세 이탈(부분 상승) 시나리오
전제전제
- 완전한 강세 전환은 아니지만, 단기·중기 하락 추세선을 일시적으로 돌파하여 중간 반등이 이루어진다고 가정.
- 이후 3,000~3,200달러 구간이 중기 핵심 저항대가 될 것으로 전망.
가격 & 시간 구간
- 단기(3~7거래일 전후)
- 가격이 2,800달러 부근(또는 50일선, 100일선 등) 돌파에 성공하며, 숏커버 및 매수세가 유입 → 2,900달러 초반~3,000달러까지 단기 상승.
- 그러나 3,000달러 부근(과거 매물대)에서 매도세로 조정 가능성.
- 중기(1~2주 이내)
- 만약 3,000달러 구간에서 추가 상승세가 이어지면, 다음 저항인 3,200달러(장기 이동평균선 근처)까지 도달 시도.
- 3,200달러 인근은 과거 고점들의 매물대이므로, 종가 기준 돌파에 여러 차례 실패한다면 재차 2,800달러 아래로 눌릴 위험 있음.
- 중장기(1~2개월)
- 3,000~3,200달러 구간에서 박스권을 형성하거나, 돌파하지 못하고 다시 하락 추세로 회귀할 수 있음.
- 추세 이탈(=중간 반등) 시나리오의 핵심은 “3,200달러 돌파 여부”로 귀결될 가능성이 큼.
- 여기서 실패하면 하락 국면으로 복귀, 성공하면 아래 ‘추세 전환’ 시나리오로 진행.
핵심 포인트:
- 2,800달러 돌파 시 3,000달러, 그 후 3,200달러 도달 시도
- 3,200달러 돌파 실패 시 다시 2,800달러 이하로 회귀할 위험
3. 추세 전환(상승 반전) 시나리오
전제전제
- 3,000~3,200달러 주요 저항을 거래량 동반으로 확실히 돌파하여, 장기 이동평균선(200일선) 위로 안착한다고 가정.
- 중·장기적으로 상승 채널 재형성 가능성.
가격 & 시간 구간
- 단기(1~2주)
- 2번 시나리오에서 언급한 3,000달러 & 3,200달러 저항대를 단숨에 돌파하거나, 짧은 조정만 거치고 연속적인 상승 흐름을 보여줌.
- 오실레이터(Stoch RSI, RSI 등)가 중립~과매수 구간으로 올라가도, 매수세가 지속적으로 유지.
- 중기(2~4주 전후)
- 3,200달러 위에서 일봉·주봉 종가가 안정적으로 형성되면, 시장 심리가 점차 **추세 전환(강세장 복귀)**으로 기울어질 수 있음.
- 다음 타겟은 3,400~3,500달러 (과거 지지·저항대) 혹은 그 이상의 이전 고점(3,800~4,000달러) 재시험 가능.
- 중장기(1~3개월 이상)
- 장기 이동평균선 위에서 바닥 지지를 다지는 데 성공하면, 4,000달러 부근 혹은 그 이상의 주요 레벨을 향해 상승 채널이 이어질 수 있음.
- 이는 전반적인 시장 자금 흐름(거시경제, 금리, 유동성 등)에 크게 좌우되지만, 기술적 관점에서는 본격 추세 전환으로 간주할 만한 흐름.
핵심 포인트:
- 3,200달러 돌파 + 장기선(200일선) 위 안착이 관건
- 이후 3,400~3,500달러 및 4,000달러대 재도전 가능
추가확인사항추가 확인 사항
- 거래량 증가 여부
- 저항선 돌파(2,800 / 3,000 / 3,200달러 등) 시 거래량이 크게 동반되어야 ‘가짜 돌파(Fakeout)’ 확률이 낮아짐.
- 하락 시에도 거래량이 동반되면 지지선을 쉽게 깨고 급락할 수 있으므로 유의.
- 오실레이터(Stoch RSI 등) 흐름
- 다이버전스(가격↔지표 엇갈림), 과매수·과매도 구간 등을 모니터링.
- 상승 전환 시에는 RSI가 일정 구간(예: 50~60 이상)을 유지하고, 하락 전환 시에는 40 이하로 계속 눌릴 수 있음.
- 이동평균선(MA) & 추세선
- 일봉 기준 50일선, 100일선, 200일선 위치를 수시로 확인.
- 중장기 매매자는 200일선 위/아래 여부가 특히 중요.
- 주요 이벤트/뉴스
- 이더리움 업그레이드(하드포크), 거시경제 이벤트(FOMC, CPI 발표 등), 거래소 이슈 등에 따라 변동 폭이 커질 수 있음.
결론 및 요약
- 하락 유지: 2,800달러 저항 돌파 실패 시, 2,600 → 2,400 → (심하면 2,000)까지도 열어둘 수 있음
- 추세 이탈(중간 반등): 2,800 돌파 & 3,000~3,200 구간 도달, 그러나 3,200 마감 돌파 실패 시 재하락 가능성
- 추세 전환(상승 반전): 3,200+ 장기선(200일선) 안정적 돌파 → 3,400~3,500, 4,000달러대 시험
반응형
'가상화폐 및 블록체인 뉴스 > 가상화폐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운스 토큰(Bounce Token = AUCTION)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2.16 |
---|---|
바운스 토큰(Bounce Token)기술적 차트 분석 : 25년 2월 16일(일) (0) | 2025.02.16 |
이더리움 최신 뉴스 근황 정리 (25년 2월 15일) (1) | 2025.02.15 |
도널드 트럼프가 만든 밈코인 "OFFICAIL TRUMP" (0) | 2025.02.14 |
파이코인(Pi Coin)최신동향 및 개발(디벨롭) 동의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