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및 블록체인 뉴스/가상화폐분석

파이코인(Pi Coin)최신동향 및 개발(디벨롭) 동의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Q: Pi Network에서 새로운 합의 메커니즘을 도입했다고 하는데, HoneyBadgerBFT가 무엇인가요?

Pi Network는 2024년 3분기부터 "HoneyBadger Byzantine Fault Tolerance (BFT)"라는 새로운 합의 메커니즘을 추가로 도입했습니다. HoneyBadgerBFT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합의를 빠르고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 기술입니다.

기존 방식보다 크게 향상된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블록 생성 시간이 기존 3.2초에서 1.8초로 단축되어 더 빠른 거래 처리가 가능해졌습니다.
  • 초당 2,500건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어 대규모 사용자 증가에도 원활한 운영이 가능합니다.
  • 네트워크 내 데이터 통신량이 32% 줄어들어 모바일 사용자들에게 더욱 효율적인 데이터 사용 환경을 제공합니다.

즉, 이 기술 덕분에 Pi Network는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Q: 확장형 샤딩 시스템이란 무엇인가요?

2025년 1월, Pi Network는 "확장형 샤딩 시스템"을 메인넷에 도입했습니다. 샤딩(Sharding)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그룹(샤드)으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거래를 처리하는 기술입니다.

Pi Network의 개선점:

  • 네트워크를 64개의 샤드 체인으로 분할하여 처리 속도를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 각 샤드는 독립적으로 거래를 처리할 수 있어 전체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여줍니다.
  • 샤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Polaris Protocol을 개발하여, 서로 다른 샤드에서 발생한 거래도 문제없이 연동됩니다.

이 기술 덕분에 Pi Network는 더 많은 사용자를 수용하고, 트랜잭션을 더욱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Q: Pi Network의 거버넌스 시스템(PIP v2.0)이 어떻게 바뀌었나요?

2024년 11월부터 Pi Network의 커뮤니티 투표 시스템이 개선되었습니다. 주요 변경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계층형 투표 방식 도입:
    • 일반 사용자: 1π = 0.001표의 투표권을 가짐
    • 검증 노드 운영자: 1개 노드 = 50표의 가중치 부여
    • 2FA(이중 인증) 설정 계정: 일반 계정보다 2배의 투표 가중치를 받음
  • 실시간 투표 대시보드를 도입하여 사용자들이 현재 투표 상황을 즉시 확인할 수 있음

이러한 변화는 Pi Network 커뮤니티의 의사결정 과정을 더욱 투명하고 민주적으로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Q: Pi Network가 환경 친화적인 업그레이드를 한다고 하는데,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나요?

Pi Network는 환경 보호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 2026년까지 완전히 PoS(Proof-of-Stake) 방식으로 전환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할 계획입니다.
  • 현재 Pi Network 노드의 연간 전력 소모량은 18.7kWh로, 이는 비트코인 대비 0.002% 수준으로 매우 낮습니다.
  • 재생에너지 노드 인증제를 도입하여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을 이용하는 노드 운영자들에게 15%의 추가 보상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Pi Network는 블록체인 기술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면서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Q: Pi Network는 규제 준수를 위해 어떤 조치를 도입했나요?

Pi Network는 2025년부터 국제 금융 규제를 준수하기 위해 TRUST(Transaction Regulation Using Secure Technology)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FATF(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 여행 규칙 준수: Pi Network 내에서 이루어지는 거래에 대한 기록과 검증이 자동으로 이루어짐
  • AML(자금세탁방지) 검증 속도를 2.4초로 단축하여 더욱 빠르고 효율적인 거래 보안 유지
  • 지역별 규제 준수:
    • 유럽: MiCA 규정 준수
    • 아시아: 각국 중앙은행의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와 연동 테스트 진행 중

이러한 조치를 통해 Pi Network는 법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확장을 위한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Q: Pi Network의 개발 로드맵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Pi Network의 개발 로드맵 진척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분야 2024 목표 2025년 현황

크로스체인 3개 연결 7개 연결(ETH, SOL, DOT 등)
월간 활성 사용자 50M 68M
디앱 생태계 500개 1,240개
물리적 POS 12개국 29개국(한국 3,500대 설치)

즉, Pi Network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크로스체인 기능 확장과 디앱 생태계 발전에 큰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Q: Pi Network의 보안 강화 조치는 무엇인가요?

2025년 2월부터 다음과 같은 보안 강화 조치가 시행되었습니다:

  • 양자내성암호(PQC) 도입 테스트넷 오픈: 양자컴퓨터 공격에도 안전한 암호화 기술 적용
  • 노드 운영자 필수 인증: 모든 노드 운영자는 ISO/IEC 27001 정보보안 인증을 받아야 함
  • 하드웨어 지갑 지원 확대: Ledger 및 Trezor 지갑을 공식 지원하여 더욱 안전한 자산 관리 가능

이러한 조치들은 Pi Network의 보안을 강화하고, 사용자들의 자산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Q: Pi Network 사용자들이 반드시 해야 할 필수 조치는 무엇인가요?

2025년 6월까지 모든 사용자가 완료해야 할 필수 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KYC 2.0 업그레이드: 기존 서류 인증이 폐지되고 생체인증(지문, 얼굴 인식 등)이 필수화
  • 노드 마이그레이션: Pi Network 노드를 운영하는 경우, Ubuntu 22.04 LTS 이상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함
  • 지갑 주소 변경: 기존 EdDSA 방식에서 PQC(양자내성암호) 호환 주소로 전환 필요

이 조치를 완료하지 않으면 일부 기능을 이용할 수 없거나, Pi Network를 원활히 사용할 수 없을 수 있습니다.


Pi Network의 모든 최신 정보는 공식 GitHub 저장소와 업데이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모든 주요 변경 사항은 커뮤니티 투표를 거쳐 최종 확정됩니다.

 

Pi Network 개발 동의란 무엇인가요?

개발 동의(Consensus Agreement)는 Pi Network 생태계가 작동하는 기술적·조직적 규칙 체계입니다. 2023년 현재 3,500만 명 이상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이 시스템은 중앙 기관 없이도 모든 참여자가 합의에 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핵심은 수정된 스텔라 합의 프로토콜(Modified SCP)로, 기존 블록체인과 달리 모바일 기기에서도 에너지 소모 없이 합의 과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기존 암호화폐와 어떤 차이가 있나요?

  1. 채굴 방식 차이:
    • 비트코인은 GPU/ASIC 장비로 전기 소모량이 연간 150테라와트시(TWh)지만
    • Pi는 휴대폰 앱으로 하루 1회 버튼 클릭만으로 참여 가능(에너지 소모 0.001kWh 미만)
  2. 신뢰 시스템:
    사용자가 직접 3~5명으로 구성된 "보안 서클"을 만들고 서로 신뢰 관계를 맺어 사기 방지
    (예: A 사용자가 B를 신뢰 목록에 추가하면 두 계정의 거래 검증 속도가 40% 빨라짐)

노드 시스템은 어떻게 작동하나요?

  1. 1단계 - 선구자(Pioneer):
    • 앱 설치 후 매일 광고 없이 24시간 간격으로 채굴
    • 기본 보상: 시간당 0.1~0.2π (2023년 11월 기준 시세 1π=28,000원)
  2. 2단계 - 기여자(Contributor):
    • 최소 3명의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와 연결 필요
    • 보상 증폭: 기본 채굴량의 최대 300%까지 증가
  3. 3단계 - 검증자(Validator):
    • 노드 소프트웨어 설치 후 24/7 운영
    • 블록 생성 참여시 추가 보상(월 평균 150~200π)

메인넷 마이그레이션이 왜 중요하죠?

2021년 12월 시작된 이 과정은 테스트넷에서 실제 경제 시스템으로 전환하는 절차입니다.

  • 3단계 진행 상황:
    1. 화폐 배포 단계(2021~2022): 65% 완료
    2. 인프라 구축 단계(2022~2023): 80% 완료
    3. 개방형 네트워크(2024~ ): 준비 중
  • KYC 필수화:
    신원 확인을 마치지 않으면 2024년 이후 모든 π를 잃게 됨
    현재 2,800만 명 중 1,900만 명(68%)이 절차 완료

커뮤니티가 정책을 바꿀 수 있다고요?

Pi Improvement Proposals(PIP) 시스템을 통해 주요 변경 사항을 투표로 결정합니다.

  • 최근 사례:
    • PIP-19: 지갑 간 전송 수수료 0.01π → 0.001π로 감소(2023.02 통과)
    • PIP-24: 채굴 보상 공식 변경 반대(78% 찬성으로 부결)
  • 투표 권한:
    • 1,000π 이상 보유자: 1표
    • 노드 운영자: 추가 1표
    • 개발팀: 최종 거부권 보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