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ounce Token 기술적 분석
1. 전체 추세 및 가격 흐름
- 장기 추세: 차트를 보면 과거 약 20달러 위에서 하락해 8달러대까지 떨어지는 비교적 강한 하락 추세가 있었고, 최근 저점(약 8달러 전후)에서 반등이 발생해 10~11달러 구간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아직 장기 이동평균선(예: 200MA) 아래에 머무르고 있어, 장기적으로는 하락 추세에서 벗어났다고 보기는 이릅니다.
- 단기 추세: 단기적으로는 8달러 부근을 저점으로 매수세가 붙어 10~11달러 사이까지 상승 후 조정 중인 모습입니다. 현재 단기 이동평균선(예: 50MA, 100MA 등)들이 서로 교차하거나 가까이 몰려 있어, 단기 방향성에 대한 신호가 나오려면 좀 더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
2. 이동평균선(MA) 분석
- 단/중기 이동평균선(빨간색, 초록색 선 가정) 교차 여부:
- 최근 가격이 단기·중기 이동평균선을 어느 정도 회복하려는 시도가 보이지만, 아직 안정적으로 안착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 만약 단·중기 이동평균선이 골든크로스(단기가 중기를 상향 돌파)를 형성한다면 단기 추세 전환의 긍정적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 장기 이동평균선(노란색 선 가정):
- 가격이 장기선 아래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해당 구간을 돌파하고 안착해야 본격적인 추세 전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지지·저항 및 피보나치(Fibonacci) 레벨
- 차트 상에 표시된 **0.382 피보나치(약 12달러대)**가 단기 저항 구간으로 보입니다. 해당 구간을 뚫고 올라서면 그 위로 14달러(0.5 피보나치) 근방도 또 다른 저항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 최근 단기 바닥을 형성한 8달러 전후가 강력한 지지대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추가 조정 시 이 구간을 재차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거래량(Volume) 동향
- 하락 중 저점을 찍을 때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면서 매수세가 들어온 것으로 보입니다.
- 이후 반등하는 구간에서도 어느 정도 거래량이 실렸으나, 최근에는 이전 고점 구간(16~20달러) 대비 상대적으로 거래량이 낮아 보일 수 있습니다.
- 저항을 뚫기 위해서는 거래량 증가가 필수적이므로, 돌파 시도 시 거래량이 실리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5. 오실레이터(예: RSI, Stochastic RSI 등)
- 제공된 차트 하단에 보이는 Stochastic RSI(SRSI 10 10 15 4) 지표가 약 40~50 전후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과매수’도 아니고 ‘과매도’도 아닌 중립 수준에 가깝습니다.
- 중립권에서 상방으로 방향이 잡힌다면 추가 상승 여지가 있지만, 다시 20 이하로 내려가면 하락 압력이 강화될 수 있습니다.
6. 종합 의견
- 단기적으로는 8달러 부근에서 강한 지지를 받고 기술적 반등 중이며, 10~12달러 사이를 시험하고 있습니다.
- 중장기적으로 하락 추세를 완전히 벗어나려면 12달러(피보나치 0.382) 및 14달러(피보나치 0.5) 구간을 뚫어야 하고, 무엇보다 장기 이동평균선(약 200MA) 위로 올라선 뒤 지지를 받아야 추세 전환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오실레이터(RSI, Stoch RSI)는 중립권에 있으므로, 매수·매도세가 어느 한쪽으로 확연히 쏠린 상태는 아닙니다.
반응형
'가상화폐 및 블록체인 뉴스 > 가상화폐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리움 차트분석 : 25년 2월 16일 (일) (0) | 2025.02.16 |
---|---|
바운스 토큰(Bounce Token = AUCTION)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2.16 |
이더리움 최신 뉴스 근황 정리 (25년 2월 15일) (1) | 2025.02.15 |
도널드 트럼프가 만든 밈코인 "OFFICAIL TRUMP" (0) | 2025.02.14 |
파이코인(Pi Coin)최신동향 및 개발(디벨롭) 동의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5.02.14 |